본문 바로가기

수익구조의 변화/플랫폼 수익모델

행안부,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능 공동활용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 착수

728x90
반응형

 

행안부, 디지털정부 전환을 위한 핵심 기반 구축 서두른다

-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능 공동활용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 착수

 

□ 앞으로 정부가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 적용이 쉬워지면서 디지털정부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행정․공공기관이 디지털 정부서비스를 개발 또는 재설계할 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지능형 기술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21일 밝혔다.

□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은 어느 정부기관이든지 디지털 정부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서버,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HW)와 시스템 소프트웨어(SW) 및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한두 번의 마우스 클릭으로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 서비스 기획‧개발준비 단계에서 하드웨어 규격정의, 용량산정부터 발주‧도입 후 각종 소프트웨어 설치와 환경설정 까지 수개월이 소요되던 과정을 간단한 신청만으로 끝낼 수 있다.

○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지능형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개발을 위해 부처별로 플랫폼을 구축하는 대신,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개발‧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관리도 자동화하여 서비스 운영 중에는 하드웨어의 부족여부를 판단하여 자동 확장‧자동 회수하고, 보안위협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및 통합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 ‘18년에 수립한 정보화전략계획에 따르면, 공공정보화 사업에 이번에 구축하는 플랫폼을 본격 적용하는 경우, 정보자원을 공동 활용하여 연간 약 460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 이에 따라 올해 연말까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공통기반을 구축하여 안정성 여부를 시험하고 늦어도 내년 말까지 행정․공공기관이 시범적용해 볼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 한편,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은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과 민간기관과의 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개소프트웨어 기반의 개방형으로 구축된다.

○ 특히,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와 중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조달절차 없이 필요한 시기에 민간에서 개발한 서비스를 간편하게 연계할 수 있게 되어 민간․공공서비스 융합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를 위해 인공지능‧빅데이터 전문기업과의 협업체계를 구성하고 과기부, 조달청 등 관계부처 및 한국정보화진흥원 등의 유관기관과 실무협의회를 통해 구체적인 기능을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은 “전자정부를 넘어 디지털정부로의 전환은 국민이 확실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부혁신”이라고 하면서, “행정․공공기관이 중복투자나 시행착오 없이, 첨단기술을 적용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디지털정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행안부, 디지털정부 전환을 위한 핵심 기반 구축 서두른다 . 2020.01.21.  보도자료.)

행안부. 디지털정부 전환을 위한 핵심 기반 구축 서두른다(정보자원정책과)게시.pdf
0.18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