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익구조의 변화/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시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표준심의회를 개최하고, 범부처 합동으로 국가표준화발표

728x90
반응형

4차 산업혁명을 지원을 위해 범부처 표준화 역량을 결집한다
- 국가표준심의회, 『2017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확정·공고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초융합·초연결·초지능화가 가속화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시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표준심의회를 개최하고, 범부처 합동으로 국가표준화 방안을 확정했다.

ㅇ 표준은 제품·서비스의 품질과 안전의 기준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간, 산업 간, 이해 관계자 간의 ‘융합’과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으로서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한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ㅇ 국가표준심의회(의장 주형환)는 4대분야 12개 중점 추진과제에 따른 102개 세부과제를 확정하고, 범부처 합동으로 2,136억원(전년대비 7.6% 증가)을 투자하기로했다.(참고 1)

< 2017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의 분야별 추진과제 >

4대 분야
중점 추진과제
세부과제수/예산

​1.글로벌 시장창출을 위한 표준개발
스마트·융복합 신산업 표준화 확대, 제조기반 등 서비스산업 표준화 추진, 시장주도형 국제표준 선점 강화
21개/281억원

2.기업성장 지원을 위한 표준기반 확충
기업 친화형 표준적합성 체계 확립,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체계 강화, 산업의 측정·참조표준 품질 선진화
32개/1,430억원

3.윤택한 국민생활을 위한 표준화
즐거운 생활 표준화 확산, 편리하고 건강한 생활 표준화 확대, 안전한 생활 표준화 강화
30개/278억원

4.민간주도의 표준생태계 확산
민간자율 표준활동 강화, 표준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소통·개방형 표준체계 혁신
19개/147억원

□ 국무조정실,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등 15개 부·처·청에서는 사물인터넷(IoT), 5세대이동동신(5G), 의료정보,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를 적극 발굴, 표준개발 및 국제 표준전문가 양성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자율차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12대 신산업 표준화 분야를 선정하고 국가·국제표준 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 ​
산업부 12대 신산업 분야 : ①전기자율차, ②스마트친환경선박, ③IoT가전, ④로봇, ⑤바이오헬스, ⑥항공·드론, ⑦프리미엄소비재, ⑧에너지신산업, ⑨첨단신소재, ⑩AR/VR, ⑪차세대디스플레이, ⑫차세대반도체

(자료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