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모델/지식재산

K-MOOC(한국형 공개 온라인 강좌)의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2020.11.02)

728x90
반응형

Ⅰ. 서론
Ⅱ. K-MOOC 관련 법령
Ⅲ. K-MOOC 연혁과 현황
Ⅳ. K-MOOC 관련 문제점
Ⅴ. K-MOOC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



■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로 누구나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고등교육 기반 공개강좌 서비스임


■ K-MOOC를 이용하는 학습자와 강좌의 수가 매년 증가하였음
- 2015년에 시작한 이후 강좌의 수와 수강 신청이 매년 증가하여, 2019년 기준으로 개설 강좌는 745개, 수강신청은 39만 2,262건임


■ 다만, 학습자의 수요에 부합하는 콘텐츠가 부족하고 강좌 이수율이 낮으며, 대학생의 강좌 이수를 학점으로 인정하기 위한 기반이 미흡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음


■ K-MOOC 운영과 개선을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음
- 보다 다양한 분야와 주제에 대해 강좌를 개설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음
- K-MOOC 이수율 제고와 강좌 수강에 따른 학점인정 확대를 위한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K-MOOC 정책과 제도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체계를 확립하고 예산 지원 확대와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기관에 대한 입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출처: K-MOOC(한국형 공개 온라인 강좌)의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2020.11.02)]

 

K-MOOC(한국형 공개 온라인 강좌)의 현황과 개선과제.pdf
0.40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