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3D 프린터 등 생산요소 기술이 성숙단계로 접어들면서 대규모 생산을 통한 비용절감보다 소비자의 니즈를 빠르게 반영하는 것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새로운 서비스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역량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서비스산업 분야에 대한 R&D투자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에 대한 R&D투자는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나 제조업에 대한 R&D투자에 비해 매우 미흡한 편이다. BM특허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국가별 비즈니스모델 혁신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활동성과 기술성은 미국, 영국, 이스라엘이 높고 시장성은 영국과 프랑스가 높으며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국가별 BM특허지표와 서비스산업 노동생산성 간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서비스산업 노동생산성에 서비스 BM특허 혹은 혁신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체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노동생산성 개선을 위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서비스 BM특허역량 개발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서비스기업의 비즈니스모델 혁신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혁신 특성을 고려한 연구개발 지원정책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혁신의 유인이 낮은 신 서비스 분야에 대한 규제완화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국내 비즈니스모델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제도를 재검토하고 서비스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아이디어를 보호하여 성장 발판을 마련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비즈니스모델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 정보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사업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온라인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사업방식을 정의하기 위해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기업이 행하는 모든 의사결정 혹은 전체 사업 등 넓은 관점으로 보거나 기업조직, 경영전략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고 있다.
비즈니스모델을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거나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사업단위 또는 이를 구성하는 세부적인 방법들을 체계화한 것으로 정의한다.
특히, 서비스산업의 비즈니스모델 혁신은 숙박, 금융, 유통, 의료, 사업서비스 등 서비스산업과 관련된 사업의 수익성 개선, 가치창출과 관련된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한다.
서비스 분야 주요 기업은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통해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O2O(Online-to-Offline) 서비스, 라이드헤일링(Ride-Hailing) 서비스,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운송서비스 분야에서는 우버(Uber)의 라이드헤일링 서비스가 가장 대표적이다. 2009년 3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우버는 2010년 6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탑승이 필요한 사람과 차량소유ㆍ운전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현재 우버는 72개 국가 400여개 도시와 28개 EU 가입국가 중 22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프라이스라인(PriceLine)은 기존의 호텔서비스에 IT기술을 활용한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을 적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였다. 역경매서비스 ‘Name Your Own Price’는 여행객이 자신이 원하는 항공일정이나 숙박지 위치, 호텔 등급등 일반적인 조건을 제시하면 익명의 후보 호텔을제안하고 이를 결재하는 방식이다. 프라이스라인그룹은 Booking.com, Priceline.com, agoda.com, KAYAK, Rentalcars.com, Opentable 등 주요 6개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200여개 국가 및 지역에서 40여개 언어로 각종 O2O 기반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대표적인 유통 및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은 전자상거래 결재시스템인 ‘원클릭’ 서비스를 개발하여 초기 전자상거래 고객 유인에 활용하였다.‘원클릭’ 서비스는 고객이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쇼핑할 때 고객명, 신용카드 정보, 송부처를 저장해놓고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 소비자가 주문을 중단할 가능성을 낮춘다. 최근에는 무인매장에서 계산대 없이 장을 보고 결제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아마존 고’ O2O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출처: 비즈니스모델 혁신 경쟁력 분석 및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8.8월 산업포커스)
사례연구: 일본 비즈니스모델 특허등록사례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및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프로그램(support program)
청구의 범위
[1]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을 구성하는 기능적 구성 요소(이하, 「기능 단위(functional unit)」라고 한다)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의 배치, 배합해 또는 그 기능의 실현 수단이 적어도 하나를 검토하는 기능 모델 작성 공정과 상기 기능 모델 작성 공정에 의해서 추출·정의된 각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에 대해서, 그 내용을 계층적으로 상세화 하고, 구체적인 실무 레벨의 기능 단위(functional unit)를 추출하는 계층화/상세화 공정과 상기 기업 활동에서 다양한 업무 이벤트(event)를 추출하는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과 상기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업무 이벤트(event)마다의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를 모델화하고, 프로세스(process)의 소요 비용 및 소요 시간(duration)이 적어도 어느쪽이든을 산출하는 프로세스 모델 작성 공정과 비지니스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조직 체계를 모델화하는 조직 모델 작성 공정과 상기 계층화/상세화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기능 단위(functional unit)물질 또는 상기 프로세스 모델 작성 공정에 의해서 모델화된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를 모니터링(monitoring) 하는 모니터링(monitoring)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2]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을 구성하는 기능 단위(functional unit)를 추출하는 기능 모델 작성 공정과 상기 기능 모델 작성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각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에 대해서, 그 기능의 실현 수단, 그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의 성질 및 그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의 특징이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3]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을 구성하는 기능 단위(functional unit)를 추출하는 기능 모델 작성 공정과 상기 기능 모델 작성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각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의 기능적 내부 구조(inner structure)를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4]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에서 다양한 업무 이벤트(event)를 추출하는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과 상기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업무 이벤트(event)마다의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를 순차적으로 순서대로적으로 강조하도록 표시하는 표시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5]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에서 다양한 업무 이벤트(event)를 추출하는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과 상기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업무 이벤트(event)마다의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에 대해서, 그 기능의 실현 수단, 그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의 성질 및 그 기능 단위(functional unit)의 특징이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6]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에서 다양한 업무 이벤트(event)를 추출하는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과 상기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업무 이벤트(event)마다의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에 대해서, 그 프로세스(process)의 상세한 관련 정보(associated information)의 표시/비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7]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에서 다양한 업무 이벤트(event)를 추출하는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과 상기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업무 이벤트(event)마다의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를 부서별로 층화해 표시하는 표시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8] 기업활동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을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으로서, 상기 기업 활동에서 다양한 업무 이벤트(event)를 추출하는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과 상기 업무 이벤트(event) 추출 공정에 의해서 추출된 업무 이벤트(event)마다의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를 표시하는 제1의 표시 공정과 상기 제 1의 표시 공정에 의해서 표시된 상세한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를 부감적인 레벨로 재전개하고, 재전개된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 공정과 (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9] 게다가 상기 업무 수행 프로세스(process)의 응답 소요 시간(duration) 및 선회(turnaround time) 시간이 적어도 어느쪽이든을 산출하는 산출 공정을 구비해 상기 표시 공정은 상기 산출 공정에 의해서 산출된 결과에 관한 것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8 중 하나에 기재된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
[10] 상기 청구항 1~9 중 한 개의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 모델링(modeling) 지원 프로그램(support program).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 검색)
'비즈니스 모델 > 특허 비즈니스 모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게임물의 창작성 및 실질적 유사성 판단기준에 관한 판결(포레스트 매니아 사건)[대법원 2019. 6. 27. 선고 중요판결] (0) | 2019.07.02 |
---|---|
바이오사업의 개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에이프로젠의 사업보고서에서 (0) | 2018.11.19 |
Setting up for SUCCESS - KPMG/ 초기 스타트업의 탄탄한 성장을 위한 가이드 (0) | 2018.07.23 |
스타벅스의 유럽에서의 Business Model - EUROPEAN COMMISSION의 보고서중에서 인용 (0) | 2017.10.24 |
특허 등 지식재산과 친해지는 방법 - 특허검색하기 (0) | 2017.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