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과 예술 그리고 산책에서 찾는 비즈니스의 기회/책 , 영화, 음악, 그림 그리고 전시회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 2023.9.14- 2024.2.12,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728x90
반응형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2023.9.14- 2024.2.12
특히 이번 전시에는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RM의 소장품 6점이 포함됐다고 한다.

"그림처럼 정확한 나의 분신은 없다. 난 나의 그림에 나를 고백하고 나를 녹여서 넣는다. 나를 다 드러내고, 발산하는 그림처럼 정확한 놈도 없다"
- 장욱진, "조선일보」 (1973. 12.8)

장욱진(1917-1990)은 김환기, 박수근, 이중섭, 유영국 등과 함께 한국 근현대 화단을 대표하는 2세대 서양화가이자, 1세대 모더니스트이다. 현재 알려진 작품들만 헤아려도 730여 점의 유화와 300여 점의 먹그림 등 그 수가 많으며, 실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그는 일상적이고, 친근한 나무와 까치, 해와 달, 집, 가족 등 몇 가지 제한된 모티프만을 평생에 걸쳐 그렸다. 장욱진 그림에서 '지속성‘과 '일관성'은 주요한 특징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재료를 가리지 않는 자유로움과 하나의 고정된 틀에 얽매이지 않는 창작 태도를 보여주며 끊임없이 변화를 시도했다. 서양화를 기반으로 동양적 정신과 형태를 가미해 이 둘이 무리 없이 일체를 이루는 경우는 장욱진 외에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번 전시는 1920년대 학창 시절부터 1990년 작고할 때까지 약 60여 년간 꾸준하게 펼쳐 온 장욱진의 유화, 먹그림, 매직펜 그림, 판화, 표지화와 삽화, 도자기 그림을 한 자리에서 조망한다. 장욱진은 그의 화문집 [강가의 아틀리에」 서문에서 밝혔듯이  참된 것을 위해 뼈를 깎는 소모까지 마다하지 않는 '진솔한 자기 고백‘으로 창작에 전념했으며, 그림 그리는 시간 대부분을 방바닥에 쪼그리고 앉아 수공업 장인(artisan)처럼 그렸다. "나는 정직하게 살아왔노라 라고 당당하게 외치며, 누구보다 자유로운 발상과 방법으로 화가로서의 본분에 자신을 충실히 소모시킨 그였다.
그가 떠난지 30여년이 흘렀지만, 그의 그림은 지금도 여전히 세상을 향해 정직하게 고백하고 있다.

장욱진 작품의 아름다움에 대한 소고
Seoul ART Guide 2023.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