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익구조의 변화

유튜브를 통한 개인 수익 창출- 수익구조

728x90
반응형

​​


애드센스를 통한 광고수익을 올리고 있는 크리에디터...
부단한 노력이 필요한 콘텐츠의 기획.
경향 신문의 기사를 통해 살펴본다.
(http://m.khan.co.kr/)

'먹방’ 등 1인 콘텐츠 기획자가 유튜브로 확장…
팬덤 형성되면 한 달에 ‘대기업 연봉’ 벌기도

​​ㆍ크리에이터란?

​먹방’ 등 1인 콘텐츠 기획자가 유튜브로 확장…팬덤 형성되면 한 달에 ‘대기업 연봉’ 벌기도

​크리에이터란 1인 콘텐츠 기획 및 창작자를 이른다. ‘먹방’으로 유명한 아프리카TV에서 시작된 1인 방송은 유튜브로 확장되면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았다. ‘1인 미디어계의 유재석’으로 불리는 대도서관과 ‘초등학생들의 아이돌’ 양띵은 크리에이터가 연예인 못지않은 팬덤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현재 국내에서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인 인원은 1만여명으로 추산된다.

10대들의 장래희망 리스트에 크리에이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선망의 직업이 된 데에는 고수익도 한몫했다. EBS <대도서관 잡(JOB)쇼>로 지상파까지 진출한 대도서관은 2016년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한 달 수입이 5000만원 정도”라면서 “이 분야가 빨리 자리 잡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분위기를 만들고 싶어서”라고 수익 공개 이유를 설명했다. 구독자 49만명의 키즈 채널 ‘말이야와 친구들’을 운영하는 국동원·이혜강씨 부부도 “월 수입이 대기업 연봉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튜브는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집계된 조회 수 등을 자동 계산해 크리에이터에게 광고수익을 배분한다. 다만, 시청자가 ‘광고 건너뛰기 버튼’을 누를 경우 그 조회 수에는 광고수익이 붙지 않는다. 유튜브코리아는 정설처럼 알려진 “조회 수 1건당 광고수익 1원이라는 얘기는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자세한 수익 구조나 분배 원칙은 공개가 어렵다고 밝혔다.

해외 시청자가 많은 채널의 경우 해당 국가의 광고단가에 따라 국내보다 높은 수익을 받을 수 있다. 미국이나 유럽은 광고단가가 높기 때문이다. 대화는 거의 없이 색색의 장난감을 갖고 노는 영상을 보여주는 한 키즈 채널에는 유럽과 중동권 시청자들의 댓글도 심심찮게 달린다. 업계에서는 이 채널의 경우 월 억대 수입을 올릴 거라고 추측한다.

MCN협회 유진희 사무국장은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라며 “성공한 크리에이터들에 따르면 자기가 좋아하는 콘텐츠를 꾸준히 인내력을 갖고 올리는 성실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전했다. 유튜브에 들어가 검색창에 ‘채널 만들기’를 치면 개설 방법부터 수익 창출을 위한 애드센스 계정 등록까지 동영상으로 자세하게 배울 수 있다.

반응형